Artists
Exhibition Information
Artists: Jinyoung Koh, Hwayeon Nam, Hyun Mi Yoo, Yeondoo Jung, Michael Wang, Hiraki Sawa
Exhibition Dates: Feb 22 – Jun 1, 2013
Exhibition Space: HITE Collection
Curated by: Keum Hyun Han, Samuso
Opening Hours: Mon – Sat : 11am-6pm / Sunday, Holiday Closed
Website: http://www.hitecollection.com
Spaces for Drawing is an exhibition that attempts to analyze drawing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Generally, drawing means an action that depicts the real by composing an object from three dimensions onto a two-dimensional space. But in this exhibition, drawing means the action of ‘drawing’ itself rather than an artistic genr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 variety of forms of drawing methods has appeared. Although the aesthetic definition of drawing has changed in East and West over time, the act of drawing is being expended with human effort along with support from tools or machines in real and virtual space.
This exhibition researches the various forms of drawing and examines the concept of drawing which is expending according to the changes in media and how the artists situate it in their works. Here, the essential meaning of drawing is not significant. This is not an exhibition that researches the meaning of drawing as an artistic genre. Drawing is developing constantly and independently as well as in inseparable combination with other media. This exhibition discovers the concept of drawing which is situated somewhere between a work and a concept and artists’ stances and attitudes concerned with drawing. In contemporary art, classification of media has become meaningless, so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drawing, is an attempt to reveal an intermediate stage of process from the beginning, involving the artists’ groping in the initial process, to the final realization.
The six artists, Jinyoung Koh, Hwayeon Nam, Yeondoo Jung, Hiraki Sawa, Hyun Mi Yoo, Michael Wang, in the exhibition, Spaces for Drawing, are each working in various media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y, video, computer graphic,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to take part a new conceptualization of drawing. This exhibition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and other media, the extension of discourse caused by this relationship, the public role of extended conceptual work in drawing from the artistic point of view as well as from soci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points of view.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xhibition we asked the artists a few questions about what drawing is and what it means to them. By using various methods of media and technique beyond just what drawing is, we researched what kind of activities drawing engenders, and how drawing extends its meaning. During the exhibition, we hear new interpretations from the artists who answer with experimental and cross-disciplinary works or by tak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refore drawing crosses space and time; extends to pictorial, architectural, and hypothetical fields; it coexists and interacts with other media including performance, stage, literature, music, and dance.
-Keumhyun Han
Jinyoung Koh shows drawings using various methods of photography. From the traditional method to photographic manipulation: light, composition, lighting, and artificial stage management, and even image transformation, a variety of types of drawing tools are grafted into his photographic works. The artist purposefully uses photographic tools in an unconventional manner. Ordinary images, which are the object of his photography, are recomposed in a surreal manner inside the frame by using photographic tools such as lighting and setting. The spectacle images, like scenes from movies, break the illusion of social myths which surround his works by revealing the shooting process.
Hwayeon Nam considers that drawing is like a particle of a possible substance or an alibi of a possible event and it works in the role of a formula which can draw out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ncept of a work. The process of thinking was similar to the process of molecules and atoms forming a surface. And the process appears as a drawing, it was extended to performance or choreography of a dance on paper. Hwayeon Nam found that in a chemistry book there was a basic principle of the chemistry of substances composed of molecules. She is very interested in how these molecules react to other molecules when they make other substances. And she found a similarity between chemistry principles and her thought process. So Hwayeon Nam started with basic elements that she chose, and then she tried to make a substance. But it was a little like choreography on paper. The paper is like a stage and the elements are like dancers. So it can be called a performance on paper. Also in this work there is a sense of absence because as a chemical reaction is happening in her brain over and over and over, but there is no aim. So performers are aimless. So, that is still absence but holding on to existence.
Yeondoo Jung‘s Adolescence (2010) is a vivid photographic record of a camping trip with young, healthy students in a mountainous area of Colorado as well as representation of images that present a mixture of the artist’s personal tastes, his liking for mountains, and his nostalgia for his youth. Artist did not intend to record the camping scene as it is or to capture the vivid moment of the place. He didn’t just take photos but meticulously made the scene as if painting a painting by choosing the composition, controlling the light, and fixing the tone. The photograph has the format of a snapshot capturing the moment but in fact it is a painting drawn with light which is meticulously calculated by the artist. In particular in Yeodoo Jung’s photos, the light is not just lighting but the mingling and flowing of materials between objects and the background; it is something warm, mature, and natural; it makes everything seem alive on screen. Yeondoo Jung makes drawings, in photographs, with light through a camera by adjusting the light and tone in real time.
Hiraki Sawa, well known for creating his films in his private space, transforms domestic interiors into settings for musings on the mechanics of motion and fantastically surreal events. Using hand-drawn and digital animation techniques, Sawa amplifies the mundane: breathing life into static objects. In Hiraki Sawa’s Airliner (2001), airplanes glide gracefully across the pages of an open blank book as a hand turns the pages at varying speeds. This action recalls a flip book, yet, in Sawa’s work, the airplanes are digitally inscribed rather than hand-drawn. The density of airplanes and their continual movement suggests both global transit and ominous congestion. Yet, the fleet of planes also conveys the sense of an aerial show, layering Sawa’s imagery with a sense of entertainment and play.
Hyun Mi Yoo’s works attempt to actually offer to the audience, the illusion of the act of drawing and of the way of seeing paintings. Generally the action of painting is a work moving three-dimensional space to a two-dimensional surface and here is where the visual illusion is supported. However Hyun Mi Yoo uses elements of painting drawn on two dimensional surfaces in three dimensional space. She arranges and colors objects, and paints backgrounds. She ignores the real light and makes imaginary light. She paints shadows and shade. Without the original sense of distance and shade, the painting of the artist’s imagination is paint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Painting is actually a visual illusion that happens in two-dimensional space. But she puts visual illusion of two dimensions i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evokes again the visual illusion of the action of painting. Hyun Mi Yoo’s three-dimensional space offers unrealistic experiences similar to meeting celebrities in real life. It reminds us that the action of painting is a work done with our bodies as well as an act of composing space. The completion of all this work concludes with photography.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ch is made with two-dimensional pictorial elements is completed, again as two-dimensional photos. Hyun Mi Yoo’s works start by creating confusion about the media of the image: at first it is unclear whether it is photography or painting, and then the basic concept of visual images is shaken up by these works that stand on the boundaries of real object and visual illu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and artificial drawing and natural photographic representation.
Michael Wang‘s interest, not just in drawing but in making traditional art objects in general, is as a kind of framing mechanism: allowing non-art systems to be perceived aesthetically, or as part of an aesthetic lineage. Or vice versa: creating a traditional frame of artistic viewership in order to disrupt this frame (for instance casting a scientist as a gallery guide, selling carbon offsets through a commercial gallery). Michael Wang think there is something about drawing, as a “planning” tool, or as a speculative kind of work. Drawing isn’t quite as fixed as painting. It’s a kind of structure. This is something that architects think about a lot. To Michael Wang rather than thinking about drawing as a material medium, it’s connected to speculative practices. He thinks about the work of architects who drew but never built. Drawing is planning, the medium that is closest to an idea, but also the first step by which an idea enters the material world. Carbon Copies (2012) is both a speculative project (it imagines another system of valuation for artworks, another system of exchange, another definition of an artwork-as-system) but also an intervention in the material world. The sale of the Copies – an essential part of the work – determines the real modification of the earth’s atmosphere.
관람안내
참여작가: 고진영, 남화연, 유현미, 정연두, 마이클 왕, 히라키 사와
전시일정: 2013.2.22-6.1
전시장소: 하이트컬렉션
전시기획: 한금현, 사무소
관람시간: 월요일-토요일: 11am-6pm / 일요일, 공휴일: 휴관
웹사이트: http://www.hitecollection.com
«드로잉을 위한 공간들»은 드로잉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해보는 전시다. 일반적으로 드로잉은 삼차원 대상을 이차원 공간에 구성하여 실제를 묘사하는 행위다. 하지만 이 전시에서 드로잉은 예술적 장르라기보다 ‘그린다’는 행위 자체를 의미한다. 새로운 매체가 출현할 때마다 다양한 형태의 드로잉 방법이 등장했고 드로잉에 대한 미학적 정의도 시대에 따라 바뀌어왔다. 그리고 지금은 인간의 수고뿐만 아니라 도구와 기계에 힘입어, 그린다는 행위는 실제 공간을 넘어 가상 공간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 전시는 다양한 형태의 드로잉을 탐구하고 매체 변화, 혹은 작가가 드로잉을 자신의 작업에 위치시키는 양상에 따라 확장되는 드로잉의 개념을 성찰해본다. 여기서 순수한 의미의 드로잉이 무엇인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드로잉이 예술적 장르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탐구하는 전시도 아니다. 드로잉은 그 자체로 끊임없이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또한 다른 매체와 결합해 불가분한 공생을 모색하기도 한다. 이 전시가 탐색하려는 지점은 작품과 콘셉트의 중간 어딘가에 위치하는 드로잉에 대한 고찰과 그에 대한 작가의 입장과 태도이다. 나아가 매체적인 구분이 의미가 없어진 동시대 미술에서 이 같은 드로잉에 대한 탐색은 작가가 개념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더듬는 것에서 시작해 작품으로 드러날 때까지, 중간 과정을 드러내는 시도이기도 하다.
고진영, 남화연, 정연두, 히라키 사와, 유현미, 마이클 왕 등의 6명의 작가들은 회화, 사진, 비디오, 컴퓨터그래픽, 설치, 퍼포먼스 등의 다양한 매체와 더불어 드로잉의 새로운 개념화에 동참하고 있다. 드로잉과 다른 매체와의 관계, 그로 인한 담론의 확장, 드로잉에서 확장된 개념적 작업의 공공적 역할 등을 예술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철학적인 관점으로 들여다본다. 전시의 진행과정 동안 작가들에게 드로잉이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하고 작가에게 있어서 드로잉은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전시를 진행하면서 각기 다른 매체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을 실현화하는 작가들에게 드로잉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듣게 된다. 이들은 실험적이고 복합된 형식의 작업, 혹은 협업적인 접근방식을 취하며 답하고 있다. 그리하여 드로잉은 공간, 시간을 가로지르며, 회화적이고 건축적이고 가상적으로 확장되며, 공연, 무대, 문학, 음악, 무용 등의 다른 매체들과 더불어 공존하고 상호작용한다.
-한금현
고진영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을 이용한 드로잉을 선보인다. 빛, 구도, 조명, 인위적 무대 연출, 또는 기계적 이미지 변형 등의 고전적인 방법에서 사진적 조작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업에는 여러 방식의 사진적 그리기 도구가 접목되어 있다. 고진영은 이 도구를 의도적으로 비틀어 사용한다. 그가 대상으로 삼은 일상은 조명, 세트와 같은 사진적 도구로 말미암아 화면 안에서 초현실적으로 재구성되고 영화의 한 장면처럼 스펙터클한 이미지는 제작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작품을 둘러싼 사회적 신화와 환상을 깨버린다.
남화연에게 드로잉이란 단순한 그리기가 아니다. 드로잉의 요소는 가능한 물질의 입자, 가능한 사건의 알리바이 등 작업의 개념적 기본 구조를 도출해 낼 수 있는 공식과 같은 역할을 한다. 작가에 의하면 화학책은 인간의 사고의 과정과 분자, 원자 등 물질의 기본 요소들이 표면을 구성하는 과정이 비슷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이 드로잉으로 나타나면서 일종의 종이 위에서 펼쳐지는 퍼포먼스나 무용과 같다고 한다. 그리하여 남화연의 드로잉에 대한 관심은 점차적으로 움직임 혹은 일종의 코레오그래피로까지 확장된다. 종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이들을 어떻게 배치하느냐가 중요하다. 종이는 마치 무대와 같고 각 요소들은 마치 퍼포머와 같다. 그리고 드로잉의 행위는 종이 위에서 하는 퍼포먼스와 같다. 또 여기에는 부재에 관한 감각이 있다. 작가의 머리 속에는 화학적 반응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지만, 여기에는 아무런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퍼포머들도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동시에 부재하고 있고, 아무런 목적 없이 움직이고 있는 것과 같다.
정연두는 일상의 소소한 경험에 작가적인 상상력이 동원된 사진, 영상, 퍼포먼스, 설치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실제와 환상의 경계를 탐색하는 작가이다. ‹아돌레센스›는 젊고 건강한 학생들의 캠핑 현장을 담은 생생한 사진 기록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산을 좋아하는 작가의 개인적인 취향과 젊음에 대한 향수가 뒤섞인 이미지의 재현이기도 하다. 그러나 작가는 현장의 생생함을 순간을 포착하는 사진으로 잡아내는 것이 아니라 화면의 구도를 정하고 빛을 조정하고 톤을 맞추어 마치 그림을 그리듯 정교하게 장면을 만들어낸다. 사진은 한 순간을 포착하는 스냅 사진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실상은 작가에 의해 정교하게 계산된 빛으로 그리는 그림과도 같다. 특히 정연두 사진에서의 빛은 단순한 조명이 아니라 대상과 배경에 어우러지는 유동하는 물질이며, 따뜻하고 완숙하며 자연스러운 것으로 화면 안의 모든 것들을 살아 움직이게 한다. 정연두는 카메라를 통해, 빛과 톤으로, 그리고 사진적 대상을 실시간 점검하면서 사진으로 하는 드로잉을 한다.
히라키 사와는 자신의 사적인 공간 안에서 만든 영상 작업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사와는 집안 내의 인테리어를 움직임을 위한 장치로 변형함으로써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사건이 벌어지도록 환상적으로 바꾸어놓는다. 손으로 이용한 그림과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중간에 위치한 그의 영상작업은 일상적이고 평범한 삶의 오브제들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히라키 사와의 ‹에어라이너›는 텅 빈 책을 손으로 넘기며 그 속도감으로 비행기가 날아오르는 영상을 보여주는 작업이다. 이러한 행동은 마치 플립북을 연상시키지만 막상 이미지는 손으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 디지털로 만들어진 영상이다. 비행기의 밀도감과 지속적인 움직임은 동시대의 글로벌한 전환과 암울한 혼잡을 상징한다. 동시에 사와의 상상력은 비행기의 에어쇼와 같은 즐거움과 놀이를 관객에게 제공한다.
유현미의 작업은 그린다는 행위와 그림을 보는 방식에 대한 환영을 실제로 관객에게 제공하는 시도를 한다.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삼차원의 공간을 이차원의 화면으로 옮기는 작업이고 여기에는 시각적인 환영이 뒷받침 된다. 유현미는 이차원의 공간에서 행하는 회화 작업의 요소들을 삼차원의 공간에서 행하고 있다. 공간에 사물을 배치하고 채색하고 배경을 덧칠한다. 실제의 빛을 무시하고 상상의 빛을 만들어 그에 맞는 그림자와 음영을 그려 넣는다. 원래의 거리감과 음영이 아닌 작가의 상상에 의한 회화가 삼차원의 공간에 그려진다. 마치 현실에서 대면한 비현실적인 경험을 유현미의 삼차원의 공간에서 하게 되며, 그림을 그린다는 행위가 연극적 무대와 같이 몸이 개입되는 작업이면서 동시에 공간을 구성하는 행위라는 것을 일깨워준다. 이 모든 작업의 완성은 사진으로 매듭지어진다. 이차원의 회화적 요소로 만든 삼차원의 공간은 다시 이차원의 사진으로 완성된다. 시각적 환영은 또 다른 환영을 낳는다. 유현미의 작업은 일차적으로는 사진인지 회화인지 모를 이미지의 매체의 혼동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제의 사물과 시각적 환영, 이차원과 삼차원, 인위적인 그리기와 자연스러운 사진적 재현 등의 경계에 서있는 작업을 통해 시각 이미지에 대한 기본적인 관념들을 뒤흔들어 놓고 있다.
마이클 왕의 관심사는 단지 드로잉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예술작업의 형식을 빌어 작업을 완성하는 것이 일종의 메커니즘을 구성한다는 사실에 있다. 다시 말하면 비예술적인 시스템을 받아들여 미적으로 인지하게 하거나 혹은 어느 정도 그 선상에 놓이기 위해서 전통적인 예술양식으로 제시한다. 어떤 프레임을 깨뜨리기 위해 전통적인 프레임에 있는 예술적인 관람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갤러리 가이드로 과학자를 고용한다던가, 탄소방출예방기금을 모금하기 위해 갤러리를 이용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마이클 왕은 드로잉에 관해서는 계획하는 도구, 혹은 뭔가를 추측하게 하는 작업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무언가가 더 있다고 생각한다. 드로잉은 단지 그림을 그리는 행위 만으로 고정될 수 없다. 특히 건축가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듯이 드로잉은 일종의 구조이다. 작가는 드로잉을 물질적인 매체로 본다기보다는 예상 가능한 실천에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그리기는 하지만 절대 짓지는 못하는 건축가의 작업과 같은 것이라 생각하고 아이디어가 물질로 들어서는 첫 단계이라 한다. ‹카본 카피스›(2012)는 어떤 현상을 예견한 프로젝트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물질적인 세계에의 개입이기도 하다. 작업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인 원작의 카피를 파는 것은 지구의 대기를 실제로 변형하는 행위이다. 그의 작업은 예술작업의 가치기준에 대한 다른 시스템을 상상하게 하고, 다른 교환의 장치, 그리고 체계로서의 예술작품에 대한 다른 정의를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