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영
b. 1979
학력
2012 M.A. 위트레흐트예술학교 순수미술전공, 위트레흐트, 네덜란드
2007 M.F.A.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서울
2003 B.F.A.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서울
개인전
2021 《Cross Reaction》, Krognoshuset, 룬드, 스웨덴
2020 《Body Ground》, 온수공간, 서울
2017 《Under the Paradise》, 파라다이스 ZIP, 서울
2016 《DON’T KNOW》, 금호미술관, 서울
2014 《U에 대한 A의 차집합》,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2009 《SCAN》, 갤러리토포하우스, 서울
2009 《Empty Material》, 송은갤러리, 서울
2008 《NOW & HERE》, 갤러리도올, 서울
그룹전
2021 《오감도: 한국미술의 다섯 풍경》, 아우랄갤러리, 마드리드, 스페인
2021 《From the Ceiling On the Floor》, 스페이스소, 서울
2021 《집에서 집으로》, 블루메미술관, 파주
2020 《꿈의 대화》, 주 독일 한국대사관, 베를린
2020 《다른 곳》, 아뜰리에에르메스, 서울
2020 《오감도: 한국미술의 다섯 풍경》, 마나랏 알 사디야트,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19 《Flat form to Platform》, 히든엠갤러리, 서울
2019 《기하학, 단순함 너머》, 뮤지움산, 원주
2019 《금호영아티스트: 16번의 태양과 69개의 눈》, 금호미술관, 서울
2019 《펼처진 주사위》, 에이라운지갤러리, 서울
2018 《뉴바우하우스》,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18 《한강건축상상전》, 문화비축기지, 서울
2018 《플랫랜드》, 금호미술관, 서울
2018 《보이지 않는 것을 공기 중에 배열하는 기술》, 일우스페이스, 서울
2017 《매체연구: 긴장과 이완》, 대구미술관, 대구
2017 《DCW ‘사물들: 조각적 시도’》, 두산갤러리, 서울
2016 《폐관전 3부 ‘材’》, 더 텍사스 프로젝트, 서울
2016 《난지리뷰전 ‘구사구용’_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5 《亮 BARE: About Korea》, 창동레지던시, 서울
2015 《난지아트쇼 ‘그때 그일을 말하자면’》,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15 《The Art of Space+Light》, 이영미술관, 용인
2015 《The Artists, Prologue Interlogue Epilogue》, SIA NY, 뉴욕
2014 《화이트 스펙트럼》,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14 《여가의 기술》, 문화역 서울 284, 서울
2013 《돌림노래는 세상을 구하지 못한다》,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3 《이상한 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
2013 《What’s on》,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3 《신진기예: Up and Comers》, 토탈미술관, 서울
2012 《Longing Belonging》, Academy Gallery, 위트레흐트, 네덜란드
2012 《Three Artists Walk into a Bar…》, De Appel Boys’ School,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2010 《일상 ‘속’ soak; 스며들다》, 경기대학교 호연갤러리, 수원
2010 《모란미술관 개관 20주년 기념전 ‘사이와 긴장’》, 모란미술관, 남양주
2010 《현대미술 수(繡)를 놓다 ‘Art in sewing’》, 북촌미술관, 서울
2009 《키미아트 개관 5주년 기념전 ‘Salmons of KiMi’》, 키미아트, 서울
2008 《KIMI for You: Take Color》, 키미아트, 서울
2008 《당연한 관계》, 진선북까페, 서울
2007 《The observers》, 스페이스 무음, 서울
2006 《기억의 보물창고》, 갤러리 인데코, 서울
2006 《LOVE IS》, 갤러리 도스, 서울
2005 《시사회 展》, 대안공간 팀 프리뷰, 서울
2005 《비밀과 거짓말》, 스타일큐브 잔다리, 서울
2004 《VISION 21: Painting & Sculpture》, 성신여대미술관,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