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BUL│ Biography

이불

b.1964


학력

1987 홍익대학교 조소과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22 《Lee Bul》,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21 《Lee Bul: New and Selected Works》, 비비엔엠 갤러리, 서울

《Lee Bul: Beginning》,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Recombinance》,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미국*

2020 《Utopia Saved》, 마네지 중앙전시홀,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2019 《Interlude: Perdu》,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Lee Bul: City of the Sun》, 서배너 아트 디자인 컬리지 미술관, 조지아 서배너, 미국

2018 《Lee Bul: Crash》, 그로피우스 바우, 베를린, 독일

《Lee Bul: Crashing》, 헤이워드 미술관, 런던, 영국

2017 《After Bruno Taut》,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런던, 영국

《Lee Bul》,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미국

2016 《Connect 1: Still Acts》, 아트선재센터, 서울

2015 《Lee Bul》,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Lee Bul: Aubade III》, 팔레 드 도쿄, 파리, 프랑스

《Lee Bul》, PKM 갤러리, 서울

《Lee Bul》, 카스테요 현대미술관, 스페인

《Lee Bul: Into Lattice Sun》, 스왈로브스키, 인스부르크, 오스트리아

《Lee Bul》, 생테티엔 현대미술관, 프랑스

2014 《MMCA Hyundai Motor Series 2014: Lee Bul》,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Lee Bul》,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Lee Bul》, 아이콘 미술관, 버밍엄, 영국

《Lee Bul》,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미국

2013 《Lee Bul》, 뮤담,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 룩셈부르크

《Pure Invisible Sun》,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Lee Bul: Inaugural Hong Kong Exhibition》, 리만 머핀 갤러리, 홍콩

2012 《Lee Bul》, 아트선재센터, 서울

《Lee Bul: From Me, Belongs to You Only》, 모리 미술관, 도쿄, 일본

2010 《Lee Bul》, PKM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Lee Bul》,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미국

2009 《Drawings》,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08 《Lee Bul》, PKM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Lee Bul》, 리만 머핀 갤러리, 뉴욕, 미국

2007 《Lee Bul: On Every New Shadow》,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파리, 프랑스

《Lee Bul》,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잘츠부르크, 오스트리아

《Lee Bul》, PKM 갤러리, 서울

《Lee Bul. Aseptia》, 도무스 아르티움 02, 살라망카, 스페인

2005 《Lee Bul -S2-》, SCAI 더 바스하우스, 도쿄, 일본

《Lee Bul: 2005 International Artist in Residence》, 고벳브루스터 미술관, 뉴플리머스, 뉴질랜드

2004 《Lee Bul》, 시드니 현대미술관, 시드니, 호주

《Lee Bul》, PKM 갤러리, 서울

《Lee Bul: Monsters》, 다이치 프로젝트, 뉴욕, 미국

2003 《Lee Bul: Live Forever》, 헨리 미술관, 시애틀, 미국

《Lee Bul: The Monster Show》, 글라스고 현대예술센터, 글라스고, 영국

《Lee Bul: Theatrum Orbis Terrarum》, 오하라 미술관, 구라시키, 일본

《Lee Bul: Theatrum Orbis Terrarum》, 재팬 파운데이션, 도쿄, 일본

《Lee Bul: Live Forever》, 스코츠데일 현대미술관, 애리조나 스코츠데일, 미국

2002 《Lee Bul: Live Forever》, 파워플랜트 현대미술센터, 토론토, 캐나다

《Lee Bul: The Monster Show》, 마르세유 현대미술관, 마르세유, 프랑스

《Lee Bul: Live Forever》, 장 폴 슬러서 미술관, 미시간대학교, 미시간 앤아버, 미국

《Lee Bul: Live Forever》, 뉴 뮤지움, 뉴욕, 미국

《Lee Bul: The Monster Show》, 르 콘소시움 현대미술센터, 디종, 프랑스

《Lee Bul Drawings: Cultural Body》, PKM 갤러리, 서울

《Lee Bul》, 로댕갤러리(현 플라토), 삼성미술관, 서울

《Lee Bul: Live Forever》,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캘리포니아 뉴포트 비치, 미국

2001 《Lee Bul: Live Forever》, 패브릭 워크숍 미술관, 필라데피아, 미국

《Lee Bul: Cyborgs》, SCAI 더 바스하우스, 도쿄, 일본

《Lee Bul: Live Forever》,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샌프란시스코, 미국

《Lee Bul: The Divine Shell》, 바바그 재단, 비엔나

2000 《Lee Bul: Monster + Cyborg》,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Futuristic Baroque》, 국제갤러리, 서울

1999 《Lee Bul, Noh Sang-Kyoon》, 제48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베니스, 이탈리아*

《Lee Bul》, 베른 쿤스트할레, 베른, 스위스

1998 《Lee Bul》, 아트선재센터, 서울

1997 《Projects》, 뉴욕 현대미술관, 뉴욕, 미국*

1994 《Unforgiven》, A스페이스, 토론토, 캐나다*

1988 《Step by Step, Th-that’s》, 일 갤러리, 서울

* 2인전 표시


주요 단체전

2022 《it matters what worlds world worlds: how to tell stories otherwise》, 캐서린 니컬스 큐레이터, 마니페스타14, 프리슈티나,

코소보

《각》, 하이트컬렉션, 서울

《Collection Exhibition 1 Vessels》,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Checkpoint. Border Views from Korea》,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볼프스부르크, 독일

《Found Cities Lost Objects: Women in the City》, 버밍엄 미술관, 버밍엄, 영국

《Objects of Desire Surrealism and Design 1924 – Today》, 갈리시아 문화전당,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스페인 순회

《Real DMZ Project: Negotiating Borders (VR video)》, 주호주한국문화원, 시드니, 호주

《찬란한 날들》, 울산시립미술관, 대왕암 공원 (옛 울산교육연구원 건물), 울산

2021 《Shell and Resin: Korean Mother of Pearl and Lacquer》,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미국

《Individual, Networks, Expressions》, M+, 홍콩

《Au frontières de l’Humain》, 인류학박물관, 파리, 프랑스

《EURASIA – A Landscape of Mutability》, 안트베르펜 현대미술관, 안트베르펜, 벨기에

《인간, 일곱 개의 질문》, 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M2 (Modern and Contemporary Art)》, 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The Touch of Gray》, Chi K11 Art Space, 우한, 중국

《The Medium is Memory》, 리만 모핀 갤러리, 타이베이, 대만

《Unseen Everyday Scene》, 도쿄 비엔날레, 일본

《Performer and Participant: Lee Bul》, 테이트 모던, 런던, 영국

《Reality & Invention》, GOMA 미술관, 브리즈번, 영국

《City on the Edge: Art and Shanghai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 UCCA Edge, 상해, 중국

《지속 가능한 미술관: 미술과 환경》,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Waves and Echoes: Postmodernism and the Global 1980s》, 인사이드 아웃 미술관, 베이징, 중국

《Real DMZ Project: Negotiating Borders》, 온라인 전시

GB Commission, 제1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

《APMA, CHAPTER THREE》,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

《30 Years in Paris》,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Objects of Desire Surrealism and Design 1924 – Today》, 카이샤 포럼 세비야, 세비야; 카이샤 포럼 지로나, 지로나, 스페인 순회

2020 《Faster Than Ever》, 아이콘 미술관, 버밍엄, 영국

《Art Plant Asia 2020: 토끼 방향 오브젝트》, 덕수궁, 서울

《Supernatural: Sculptural Visions of the Bodily》, 튀빙겐 쿤스트할레, 튀빙겐, 독일

《일그러진 초상》, 스페이스K, 서울

《Negotiating Borders – Paris》, 주프랑스한국문화원, 파리, 프랑스

《There is Another Way of Looking at Things》, 샤우베르크 미술관, 진델핑겐, 독일

《메이투데이: 5·18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Threshold: Art in Times of Crisis》, 퍼포마 / Radical Broadcast Platform

《Inside Out: The Body Politic》, 리만 머핀 갤러리, 서울

《메이투데이: 민주주의의 봄》, 아트선재센터, 서울

《댄싱퀸》, 아라리오갤러리, 천안

《MMCA 소장품 하이라이트 202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Objects of Desire Surrealism and Design 1924 – Today》, 카이샤 포럼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카이샤 포럼 마드리드, 마드리드 순회

2019 《Negotiating Borders》,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Eternal Now》, PKM 갤러리, 서울

《광장: 미술과 사회 1990-201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5th Anniversary Exhibition Where We Now Stand—In Order to Map the Future[2]》,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Phantom Plane: Cyberpunk in the Year of the Future》, 타이쿤 컨템포러리, 홍콩

《Objects of Desire Surrealism and Design 1924 – Today》,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바일 암 라인, 독일

《Utopian Imagination》, 포드 파운데이션, 뉴욕, 미국

《Desire: A Revision from the 20th Century to the Digital Age》, 아일랜드 현대미술관, 더블린, 아일랜드

《Cosmologic Arrows》, 보니에르 쿤스탈, 스톡홀름, 벨기에

《Five Artists: Sites Encountered》, 엠플러스 파빌리온, 홍콩

《May You Live In Interesting Times》, 랄프 루고프 큐레이터, 제 58회 베니스 비엔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In Our Time – Future’s Past》, 하라 현대 미술관, 도쿄, 일본

《An Opera for Animals》, 파라 사이트, 홍콩; 록번드 아트 뮤지엄, 상해 순회

《DMZ》, 문화역서울 284, 런던 순회

《Now is the Time – 2019 Wuzhe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우전, 중국

《APMP, Chapter One – From the APMA Collection》,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

2018 《Zombies: Pay Attention!》, 아스펜 아트 뮤지엄, 아스펜, 콜로라도, 미국

《Liminal Encounters: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아시아 소사이어티 홍콩

《Beyond Bliss》, 제 1회 방콕 아트 비엔날레 2018, 태국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돈의문 박물관마을, 서울

에치코 추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에치코 추마리, 일본

《In the Eye of the Beholder》, 타블 아트 센터, 이스턴일리노이대학교, 일리노이 찰스턴, 미국

《MAM Collection 007: Invisible Cities》, 모리 미술관, 도쿄, 일본

38회 EVA 인터내셔널 아일랜드 비엔날레, 인티 게레로 큐레이터, 리머릭 시티, 아일랜드

《SeMA 소장작품 기획전: 잃어버린 세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Ajibi Art Lab》,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APMA, The Beginning》,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

《Art in the Age of the Internet, 1989 to Today》, 보스턴 아트 인스티튜트, 보스턴, 미국

2017 《A Better Version of You》, 아트선재센터, 서울

《Discordant Harmony》, 인사이드-아웃 아트 미술관, 베이징, 중국

《청년의 초상》,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

《Collection Exhibition 2: Undying Life》,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Rehearsals from the Korean Avant-Garde Performance Archive》,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특별전: 균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하이라이트: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소장품 기획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스코어_ 나, 너, 그, 그녀{의}》, 대구미술관, 대구

2016 《X: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Beyond Public Art, 아부다비 아트, 아랍에미리트

《Fired Up: Women in Glass》, 민트 미술관, 샬롯, 노스캐놀라이나, 미국

《SPLIT. Spiegel. Licht. Reflexion》, 진델핑겐 미술관, 진델핑겐, 독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30년 특별전: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Light/Source》, 필립스, 뉴욕, 미국

《Dark Matter》, 분더샵 청담, 서울

《The Future is already here – it’s just not very evenly distributed》, 스테파니 로젠탈 큐레이터, 시드니 비엔날레, 호주

《Intriguing Uncertainties》, 생테티엔 현대미술관, 프랑스

2015 《How to live? Visions of the future yesterday and today》, 빌렘 핵 미술관, 루트비히스하펜, 독일

《Renaissance 2015》, 장 막스 콜라드 큐레이터, 릴 3000, 프랑스

《Space Age》,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에치코 추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에치코 추마리, 일본

《Esprit Dior Seoul》,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

《Storylines: Contemporary Art at the Guggenheim》,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미국

《Collection 1》,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Esprit Dior – Miss Dior》, 울렌스 현대미술센타, 베이징, 중국

《Artists for Ikon》, 아이콘 미술관, 버밍엄, 영국

《Making Traces: Magda Cordell and Lee Bul》, 테이트 모던, 런던, 영국

《Future Seasons Past》, 르만 모핀 갤러리, 뉴욕, 미국

《In Search of Meaning – The Human Figure in Global Perspective》, 핀다치 미술관, 즈볼레, 네덜란드

2014 《The Art of Our Time: Masterpieces from The Guggenheim Collections》,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 빌바오, 스페인

《Now-ism: Abstraction Today》, 피추티 컬렉션, 콜럼버스, 오하이오, 미국

《터전을 불태우라》, 제시카 모건 큐레이터, 제10회 광주비엔날레, 광주

《교감》, 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Lat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호주

《Blood Frames Revisited》, 폴 카스민 갤러리, 뉴욕, 미국

《Esprit Dior – Miss Dior》, 상하이 조각 아트센터, 상하이, 중국

《Misled by Nature | Contemporary Art and the Baroque》, 캐나다 현대미술관, 토론토, 캐나다

2013 《Esprit Dior – Miss Dior》, 갤러리 쿠르베, 그랑 팔레, 파리, 프랑스

《자이트가이스트 · 시대정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Awakening – Where Are We Standing? – Earth, Memory and Resurrection》, 타로 이가라시 큐레이터, 2013 아이치 트리엔날레, 나고야, 일본

2012 《(불)가능한 풍경》, 플라토 (옛 로댕갤러리), 삼성미술관, 서울

《Misled by Nature: Contemporary Art and the Baroque》, 앨버타 미술관, 캐나다 앨버타, 캐나다

《BIOS – Konzepte des Lebens in der zeitgenössischen Skulptur》, 게오르크 콜베 미술관, 베를린, 독일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 백남준 아트센터, 용인

《Invisible Cities》, 매사추세츠 현대미술관, 매사추세츠 노스 애덤스, 미국

《Lehmann Maupin at Singapore Tyler Print Institute (STPI)》, 싱가포르 타일러프린트 인스티튜트(STPI), 싱가포르

2011 《Countdown》, 김성원 큐레이터, 문화역서울 284, 서울

《Space Study》, 플라토 (옛 로댕 갤러리), 삼성미술관, 서울

《오늘을 걷는 공예》, 정준모 큐레이터, 2011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

2010 《Transformation》, 도쿄 현대미술관, 도쿄, 일본

《Fantasmagoria, le monde mythique》, 레사바뚜아, 툴루즈 현대미술관, 툴루즈, 프랑스

《The New Décor》, 헤이워드 미술관, 런던; Garage 컨템포러리 문화센터, 모스크바 순회

《Morality Act VI: Remember Humanity》, 비트 드 비트 현대미술관, 로테르담, 네덜란드

《오월의 꽃》,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New Art for a New Century: Contemporary Acquisitions, 2000 – 2010》,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캘리포니아 뉴포트 비치, 미국

《Itinéraires de l’élégance, entre l’Orient et l’Occident》, 보고시안 재단, 브뤼셀, 벨기에

《A Fragmentary Anatomy of Every Setting Sun》, 하라 ARC 미술관 영구설치, 군마현, 일본

《The Infinite Starburst of Your Cold Dark Eyes》, PKM 갤러리 | 바틀비 비클 앤 뫼르소, 서울

2009 《GAGARIN, The Artists in their Own Words》, 겐트 시립현대미술관, 겐트, 벨기에

《Void of Memory》, 마미 카타오카와 김선정 큐레이터, 플랫폼 서울 2009, 기무사 (옛 국군기무사령부 터), 서울

2008 《Prospect.1》, 댄 카메론 큐레이터, 뉴올리언스 현대미술센터, 뉴올리언스, 미국

《Life? Biomorphic Forms in Sculpture》, 그라츠 미술관, 그라츠, 오스트리아

《Fluid Street – Alone, Together》, 키아즈마 현대미술관, 헬싱키, 핀란드

《Fragile Beauty》, 쿤스트 팔라스트 미술관, 뒤셀도르프, 독일

《Mobile Art: Chanel Contemporary Art Container》, 홍콩, 도쿄, 뉴욕 순회

《Art is for the Spirit: Works from the UBS Collection》, 모리 미술관, 도쿄, 일본

2007 《Tomorrow》, 아트선재센터와 금호미술관, 서울

《Time Present, Time Past》, 이스탄불 현대미술관, 이스탄불, 터키

《Not Only Possible, But Also Necessary: Optimism in the Age of Global War》, 후 한루 큐레이터, 제10회 이스탄불 비엔날레, 터키

《Global Feminisms》, 브루클린 미술관, 뉴욕, 미국

2006 《Real Utopia》,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Dirty Yoga》, 댄 카메론 큐레이터, 제 5회 타이베이 비엔날레, 태국

《The Past Made Present: Contemporary Art and Memory》, 휴스턴 미술관, 휴스턴, 미국

《한국미술 100년 – 2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Uneasy Nature》, 웨더스푼 미술관, 노스캐롤라이나 그린즈버러, 미국

2005 《Baroque and Neo-Baroque: The Hell of the Beautiful》, 도무스 아르티움 02, 살라망카, 스페인

《Gorgeous Isn’t Good Enough》, 스파치오 피렐리, 앙가 비코카, 밀라노, 이탈리아

《California Modern》,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캘리포니아 뉴포트 비치, 미국

《Art Unlimited》, 제36회 아트바젤, 스위스

《신체의 꿈》,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IDYL》, 미델하임 미술관, 앤트워프, 벨기에

《20세기로의 여행: 피카소에서 백남준으로 = Encounters with Modernism》,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서울

《(My private) HEROES》, 마르타 미술관, 헤르포르트, 독일

《신소장품전 200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4 《The Nature Machine》, 퀸즐랜드 주립미술관, 브리즈번, 호주

《Encounters in the 21st Century: Polyphony – Emerging Resonances》,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리움 개관전, 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Why Not Live For Art?》, 도쿄 오페라 시티 미술관, 도쿄, 일본

《Standing on a Bridge》,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Andererseits: Die Phantastik》, 린츠 주립미술관, 린츠, 오스트리아

Artes Mundi Prize, 카디프 국립미술관, 카디프, 영국

2003 《world rush_4 artists》,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호주

《5: 아트선재 소장품》, 아트선재센터, 서울

《Girls Don’’t Cry》, 파르코 미술관, 도쿄, 일본

《The Uncanny》, 멘델 미술관, 새스커툰, 캐나다

2002 《Shape》,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BINGO》,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 파리, 프랑스

《Fusion Cuisine》, 데스테 재단, 아테네, 그리스

《Walk Around Time: Selections from the Permanent Collection》, 워커아트센터, 미니애폴리스, 미국

《The Uncanny》,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My Reality: The Culture of Anime》, 신시내티 현대미술관, 오하이오 신시내티, 미국

2001 《Record All Over》, 제9회 영상 비엔날레, 프랑수아 닌겟토와 카트린 파블로비츠 큐레이터, 제네바 현대미술관, 제네바,

스위스

《ARS 01: Unfolding Perspectives》, 키아즈마 현대미술관, 헬싱키, 핀란드

《Egofugal》, 유코 하세가와 큐레이터, 제7회 이스탄불 비엔날레, 터피

《Connivence》, 로랑스 하쥬-드레이푸스 큐레이터, 제6회 리옹 비엔날레, 프랑스

《The Collection of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Body as Byte》, 루체른 미술관, 루체른, 스위스

《01.01.01: Art in Technological Times》,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미국

《My Reality: The Culture of Anime》, 디모인 아트센터, 아이오와 디모인; 브루클린 미술관, 뉴욕 순회

《Let’s Entertain》,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볼프스부르크; 마이애미 미술관, 마이애미 순회

2000 《Au-delàdu Spectacle》, 퐁피두센터, 파리, 프랑스

상하이 비엔날레, 토시오 시미주와 후 한루 큐레이터, 상하이 미술관, 중국

《미디어시티 서울》, 바바라 런던과 제레미 밀러 큐레이터,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Lust Warande》, 펀다멘트 재단 기획, De Oude Warande, 틸뷔르흐, 네덜란드

《Air Air》, 그리말디 포럼, 모나코

에치코 추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낸시 스펙터 선정, 프램 키타가와 큐레이터, 에치코 추마리, 일본

《Zeitwenden》, 쿤스틀러하우스와 루드비히 재단 현대미술관, 비엔나

《Tourlou, tourlou》, 멜리나 머큐리 아트 스페이스, 히드라, 그리스

《Der anagrammatische Körper》, ZKM, 카를스루에, 독일

《La casa, il corpo, il cuore》, 체코 국립미술관, 프라하, 체코

《Continuum 001》, 레베카 고든 네스빗 기획, 글라스고 현대예술센터, 글라스고, 영국

《구림마을 프로젝트 1》, 영암도기문화센터 및 구림마을

《Let’’s Entertain》, 워커 아트센터, 미니애폴리스; 포틀랜드 미술관, 오레곤 포틀랜드 순회, 미국

《느림》, 아트선재센터, 서울

1999 《Zeitwenden》, 본 미술관, 본, 독일

《Cities on the Move 7》, 키아즈마 현대미술관, 헬싱키, 핀란드

《Der anagrammatische Körper》, 뮈리츠 미술관 (그라츠 신미술관 공동기획), 뮈리츠, 오스트리아

《La casa, il corpo, il cuore》, 루드비히 재단 현대미술관, 비엔나

《dAPERTutto》, 하랄트 제만 큐레이터,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Hot Air》, 후미오 난조 큐레이터, 그랜쉽 센터, 시즈오카, 일본

《Slowness of Speed》, 뉴사우스웨일즈 주립미술관, 시드니, 호주

《Cities on the Move 6》, 실파곤대학교 회화, 조각, 그래픽 예술학부 미술관, 방콕, 태국

《Cities on the Move 5》, 헤이워드 미술관, 런던, 영국

《Cities on the Move 4》,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 훔레벡, 덴마크

1998 《Sarajevo 2000》, 루드비히 재단 현대미술관, 비엔나

《Slowness of Speed》,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호주

《The Natural World》,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휴고 보스 프라이즈 1998,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미국

《Cities on the Move 3》, P.S. 1 현대미술센터, 뉴욕, 미국

《Cities on the Move 2》, CAPC 현대미술관, 보르도, 프랑스

《Traffic Jam》, 뷰로 프리드리히, 미테, 베를린, 독일

1997 《Cities on the Move》, 한스-울리히 오브리스트와 후 한루 큐레이터, 제체숀 하우스, 비엔나

《Fast Forward》, 파워플랜트 현대미술센터, 토론토, 캐나다

《L’’autre》, 하랄트 제만 큐레이터, 제4회 리옹 비엔날레, 프랑스

《619 KBB 75》, 피필로트 리스트, 조지나 스타, 실비 플뤼리와의 자동차 설치, 로랑스 하쥬 큐레이터, 파리와 베를린

1996 《Join Me!》, 유코 하세가와 큐레이터, 스파이럴/와코르 아트센터, 도쿄, 일본

《Arcos da Lapa》, 퍼블릭 프로젝션, 리우데자네이루, 그르노블 라보라뚜아 기획, 브라질

1995 《Information and Reality》, 프루트마켓 미술관, 에딘버러, 영국

제6회 트리엔날레 클라인플라스틱, 로랑 헤기 큐레이터, 수드베스트 란데스방크 포룸, 스투트가르트, 독일

《한국현대미술의 오늘》, 제1회 광주비엔날레, 광주

《New Asian Art》, 재팬 파운데이션, 도쿄, 일본

《싹》, 아트선재센터, 서울

《인체와 인식》,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94 《기술과 정보 그리고 환경》, 대전엑스포 재생조형관, 대전

‘무제’ (설치와 퍼포먼스), 명동 비포 빌딩, 서울

《이런 미술 – 설거지》, 금호미술관, 서울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과 용인

《내일에의 제안 – 차세대의 시각》, 예술의전당, 서울

1993 제1회 아시아 퍼시픽 트리엔날레, 퀸즐랜드 주립미술관, 브리즈번, 호주

《성형의 봄》, 이용우 큐레이터, 덕원갤러리, 서울

‘Conversation’ (퍼포먼스), 프로토 극장, 도쿄, 일본

‘Impromptu Amusement’ (퍼포먼스), 구니타치 아트홀, 도쿄, 일본

1992 ‘다이어트: 도표를 그리다 III’ (퍼포먼스), 사각 갤러리, 서울

‘귀의 해: 도표를 그리다 II’ (퍼포먼스), 라이브하우스 난장, 서울

1991 《혼돈의 숲에서》, 자하문 갤러리, 서울

《DMZ 문화예술운동》, 예술의전당, 서울

《설거지》, 소나무 갤러리, 서울

《바이오》, 스페이스 오존, 서울

‘Interaction’ (치노 수이치와 5일간의 퍼포먼스), 수원성

1990 《Tokyo–Seoul Traffic》, K 갤러리, 도쿄, 일본

《선데이 서울》, 소나무 갤러리, 서울

‘Artoilet II’ (퍼포먼스), 공간 소극장, 서울

‘물고기의 노래’ (퍼포먼스), 동숭아트센터, 서울

‘수난유감’ (12일간의 퍼포먼스), 김포공항, 나리타 공항, 도쿄 시내, 도끼와자 극장, 일본

1989 ‘갈망’ (퍼포먼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낙태’ (퍼포먼스), 동숭아트센터, 서울

‘무제’ (퍼포먼스), 나우갤러리, 서울

한국 설치미술제, 토탈미술관, 장흥

1988 《U. A. O.》, 르누아르 아트홀, 서울

《Anti-Idea》, 토탈미술관, 서울

《시점과 시점전 II》, 바탕골 미술관, 서울

제19회 홍익조각회,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87 《뮤지움 III》, 수 갤러리, 서울

《Print of Concept》, P&P 갤러리, 서울

《시점과 시점전》, 바탕골 미술관, 서울

《뮤지움 창립전》, 관훈갤러리, 서울

%d bloggers like this: